해부학 (근육의 기능)

27. 새끼손가락의 근육과 손의 내재근(Hypothenar muscle)

트레이너 김우태 2021. 9. 27. 19:17

소지구(Hypothenar)에는 단장근(Palmaris brevis), 소지대립근(Opponens digiti minimi), 단소지굴근(Flexor digiti minimi brevis), 소지외전근(Abductor digiti minimi) 등이 있고, 골간근(Interossei)은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과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이 있다.

1. 단장근(Palmaris brevis)
 기시점(Origin) : 수장건막(Palmar aponeurosis)의 척골연과 굴근지대(Flexor retinaculum)의 수장면
 정지점(Insertion) : 손의 척골연 위의 피부
 신경지배(Innervation) : 척골신경(Ulnar nerve), C7, C8, T1
 작용(Action) : 피부를 손의 척골방향으로 주름지게 한다.
2. 소지외전근(Abductor digiti minimi)
 기시점(Origin) : 두상골(Pisiform)
 정지점(Insertion) : 소지 근위지골 기저부의 척골측, 신근확장의 척측경계
 신경지배(Innervation) : 척골신경(Ulnar nerve), C7, C8, T1
 작용(Action) :
   - 소지 중수지관절의 외전(Abduction)
   - 중수지관절의 대립(Opponen) 및 굴곡(Flexion)을 보조
※ 소지외전근(Abductor digiti minimi)의 기시(Origin)점인 두상골(Pisiform)에 척측수근굴근건(Flexor carpi ulnaris tendon)이 정지(Insertion)한다.
3. 단소지굴근(Flexor digiti minimi)
 기시점(Origin) : 유구골구(Hook of hamate), 굴근지대(Flexor retinaculum)
 정지점(Insertion) : 소지 근위지골 기저부의 척측
 신경지배(Innervation) : 척골신경, C7, C8, T1
 작용(Action) :
   - 소지 중수지절관절의 굴곡(Flexion)
   - 대립(Opponen)을 보조
4. 소지대립근(Opponens digiti minimi)
 기시점(Origin) : 유구골구(Hook of hamate), 굴근지대(Flexor retinaculum)
 정지점(Insertion) : 제5 중수골의 척측
 신경지배(Innervation) : 척골신경(Ulnar nerve), C7, C8, T1
 작용(Action) : 소지 수근중수관절의 대립(Opponen)
5.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기시점(Origin) : 
    - 제1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1 중수골의 척측연 근위 1/2, 제2 중수골 요측연 전체
    - 제2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2 중수골 척측연, 제3 중수골 요측연
    - 제3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3 중수골 척측연, 제4 중수골 요측연
    - 제4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4 중수골 척측연, 제5 중수골 요측연
 정지점(Insertion) : 
    - 제1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2 수지 근위지골 기저부 요측연
    - 제2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3 수지 요측연
    - 제3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3 수지 척측연
    - 제4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4 수지 척측연
 신경지배(Innervation) : 척골신경(Ulnar nerve), C8, T1
 작용(Action) : 
    - 제1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2 수지의 무지 방향 외전(Abduction)
    - 제2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중지의 제2 수지방향 외전(Abduction)
    - 제3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중지의 제4 수지방향 외전(Abduction)
    - 제4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 제4 수지의 소지방향 외전(Abduction)

★ 골간근에 의한 증상
 - 골간근에 TP가 있는 경우, 손가락이 뻣뻣하고 무거워서 단추 잠그기, 글쓰기, 물건 쥐기 등의 동작이 힘들다고 한다.
 - TP에 의해 신경이 포착된 경우 침범된 손가락의 한쪽 면에만 감각이상이 생길 수 있다.
6.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기시점(Origin) : 
   - 제1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2 중수골 척측연 전체
   - 제2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4 중수골 요측연 전체
   - 제3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5 중수골 요측연 전체
 정지점(Insertion) : 
   - 제1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2 수지 근위지골 기저부 척측연 & 확장신근
   - 제2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4 수지 근위지골 기저부 요측연 & 확장신근
   - 제3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5 수지 근위지골 기저부 요측연 & 확장신근
 신경지배(Innervation) : 척골신경(Ulnar nerve), C8 ,T1
 작용(Action) : 
   - 제1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2 수지의 내전(Adduction)
   - 제2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4 수지의 내전(Adduction)
   - 제3 장측골간근(Palmar interossei) : 제5 수지의 내전(Adduction)
7. 충양근(Lumbricalis)
 기시점(Origin) : 
   - 제1 충양근(Lumbricalis) : 제2 수지로 가는 심지굴근건의 요측
   - 제2 충양근(Lumbricalis) : 제3 수지로 가는 심지굴근건의 요측
   - 제3 충양근(Lumbricalis) : 제3 수지로 가는 심지굴근건의 척측, 제4수지로 가는 심지굴근건의 요측
   - 제4 충양근(Lumbricalis) : 제4 수지로 가는 심지굴근건의 척측, 제5 수지로 가는 심지굴근건의 요측
 정지점(Insertion) :
   - 제1 충양근(Lumbricalis) : 해당 수지의 수지신전건의 요측
   - 제2 충양근(Lumbricalis) : 해당 수지의 수지신전건의 요측
   - 제3 충양근(Lumbricalis) : 해당 수지의 수지신전건의 요측
   - 제4 충양근(Lumbricalis) : 해당 수지의 수지신전건의 요측
 신경지배(Innervation) : 정중신경(Median nerve), C6, C7
 작용(Action) : 해당 수지의 중수지관절 굴곡(Flexion), 지골관절 신전(Extension)
8개의 수근골(Carpal bone)
 - 대능형골 : Trapezium
 - 소능형골 : Trapezoid
 - 주상골 : Scapoid
 - 유두골 : Capitate
 - 유구골 : Hamate
 - 삼각골 : Triquetrum
 - 두상골 : Pisiform
 - 월상골 : Lun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