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 latae)은 장골능(Iliac crest) 및 장골극(Iliac spine)의 전상부에서 기시(Origin)하여 장경인대(Iliotibial ligament)로 연결되는 방추형 근육으로서 두층의 대퇴근막으로 둘러싸여있다. 원위부에서 전내측부는 무릎 높이에서 외측슬개골지지대(Lateral patellar retinaculum)와 슬개인대(Patallar ligament)의 바로 표층(Superficial plane)에 있는 다리의 심부근막(Deep fascia)으로 부착되고, 후외측부는 장경인대(Iliotibial ligament)를 통해서 무릎아래 높이에서 외측경골(Lateral tibia) 결절(Tubercle)에 부착된다.
기시점(Origin) - 장골능 외측연 앞부분 - 전상장골극(ASIS) 외측 - 대퇴근막의 심부 정지점(Insertion) - 전내측부 : 슬개골 높이에서 외측슬개골지지대와 슬개골 인대의 표층에 있는 하지의 심부근막 - 후외측부 : 장경인대의 장축의 중간부와 연결되어 경골결절의 외측, 대퇴외과, 대퇴골조선에 부착 작용(Action) - 전내측부 : 대퇴부의 굴곡과 외전 - 후외측부 : 대퇴부의 내회전과 무릎 안정화, 보행시 골반안정화 신경지배(Innervation) : 상둔신경(Superior gluteal nerve) |
● 기능해부학
1. 대퇴근막장근(TFL)의 기능
=> 대퇴근막장근(TFL)은 대퇴부의 굴곡(Flexion), 외전(Abduction), 내회전(Medial rotation) 및 무릎 안정화(Stability)에 작용한다.
=> 대퇴의 굴곡(Flexion)에서는, 장요근(Iliopsoas)과 대퇴직근(Rectus femoris)과 함께 작용하고(장요근이 마비되면 보상작용으로 대퇴근막장근이 많이 사용되어 비대해 진다.), 대퇴의 외전(Abduction), 내회전(Medial rotaion) 시에는 중둔근(Gluteus medius) 및 소둔근(Gluteus minimus)과 함게 작용한다.
=> 고관절 외전, 내회전 근육은 보행시 땅을 디딘 발의 반대쪽 골반이 처지는 것을 막아준다.
=> 대퇴근막장근의 무릎에 대한 작용은 무릎을 완전히 펼 때 무릎의 안정성을 제공하고, 신전력을 증가시키며, 무릎 외측의 흔들림을 막아주고, 무릎을 굽힐 때는 다른 슬관절 굴곡근과 협동하여 하퇴의 굴곡과 외회전에 기여한다.
2. 대퇴근막장근(TFL)의 전내측부와 후외측부
=> 전내측부
ⓐ 대퇴부의 굴곡(Flexion)과 외전(Abduction)에 관여한다.
ⓑ 보행시 유각기(Swing phase) 동안에 활성화되어 고관절 굴곡근으로 작용한다.
=> 후외측부
ⓐ 대퇴부의 내회전과 무릎의 안정화(Stability)에 관여한다.
(대퇴부가 내회전을 유지하며 무릎을 최대로 편 상태에서 유지하게 함.)
ⓑ 보행시 입각기(Stance phase) 동안 (중둔근 과 소둔근을 도와주면서) 골반을 안정화시키며 무릎 안정화에도 작용한다.
3. Ober test
[장경인대, 대퇴근막장근의 단축을 알아보는 테스트]
검사하고자 하는 다리를 위로하여 옆을보고 눕고, 아래(건측)의 다리는 무릎을 굽히고 고관절을 굴곡시켜 요추가 편평해지도록 만든다. 검사자가 검사하고자 하는 다리를 잡고 슬관절을 90도 굴곡, 고관절을 중립위(약간 신전), 외전시켰다가 다리를 놓아본다. 장경인대나 대퇴근막장근의 단축이 없으면 다리는 수평이하로 떨어진다. 만약, 다리가 수평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이들 근육의 단축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 임상적인 문제
1. 증상
=> 고관절이나 대전자부 주위에 통증이 심하며, 대퇴부의 외측으로 방사통이 생기고, 무릎까지 확산되기도 한다. 통증이 엉덩이를 움직일 때 더 심해져서 대전자점액낭염과 혼돈되기도 한다.
=> 대퇴근막장근에 문제가 생기면 허리통증과 더불어 무릎의 외측으로 통증이 같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장거리 달리기를 하고난 후에 대퇴근막장근의 이상이 많이 나타난다.
=> 수면장애
- 환측을 아래로 하여 측와위로 누우면 TP에 대한 압박으로 통증이 심해진다.
- 환측을 위로 하여 측와위로 누우면 장경인대의 긴장으로 통증이 생긴다.
(베개를 무릎사이에 넣어야 편해진다.)
=> 자세
- 고관절을 90도 이상 굴곡시킨 상태로 오래 앉아있지 못한다.
- 서있을 때 둔부를 약간 굴곡시키며, 둔부가 과신전이 되지않도록 노력하게 된다.
- 골반이 전방으로 기울게 되고, 요추전만이 심해진다.
=> 보행
- 통증 때문에 빨리 걷기 힘들어서 고관절을 약간 굴곡한 상태로 걷거나, 목발을 짚어 환측 다리에 체중이 실리지 않게 하여 걷는다.
2. TP와 방사통
'해부학 (근육의 기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35. 고관절 내전근들(Hip adductors) (0) | 2021.10.18 |
---|---|
34. 장요근(Iliopsoas) (0) | 2021.09.30 |
32. 봉공근(Sartorius) (0) | 2021.09.29 |
31. 대퇴사두근(Quadreceps femoris) (0) | 2021.09.29 |
30.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 muscle group) (0) | 2021.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