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근육의 기능)

39. 햄스트링(Hamstring) [알면이득 모르면 손해]

  햄스트링(Hamstring)은 반건양근(Semitendinosus), 반막양근(Semimembranosus), 대퇴이두근 장두(Biceps femoris long head), 대퇴이두근 단두(Biceps femoris short head)를 말한다. 대퇴에서의 위치에 따라 반건양근, 반막양근은 내측근육(Medial hamstring)으로, 대퇴이두근 장두와 단두는 외측근육(Lateral hamstring)으로 구분한다. 햄스트링 중에서 내측근육들과 대퇴이두근의 장두는 모두 좌골결절(Ishchial tuberosity)에서 기시(Origin)하여 2개의 관절(고관절(Hip joint) + 슬관절(Knee joint))을 지나 무릎의 뒤쪽에 붙어서 고관절 신전(Extension)과 슬관절 굴곡(Flexion) 작용을 하며, 같은 신경지배(Innervation)를 받는다.

  반건양근(Semitendinosus)은 반(Half)이 건(Tendon)인 근육이다. 긴 끈 모양의 건이 대퇴의 몸쪽(Proximal) 2/3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간다. 원위부(Distal)에서 봉공근(Sartorius), 박근(Gracilis)과 만나서 거위발건(Pes anserinus)을 형성하며 경골(Tibia)의 윗부분 안쪽에 닿는다.

  반막양근(Semimembranosus)은 납작한 막 모양의 넓은 근육으로서, 대퇴중간에서 건의 형태로 되어 아래로 진행하여 경골내과(Medial tibial condyle)의 뒷부분, 슬와근막, 사슬와인대(Oblique popliteal ligament)로 부착된다. 무릎을 90도로 굽히면 내측근육인 반막양근과 반건양근의 힘줄이 경골의 안쪽 면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내측근육을 수축하면 약 10도정도의 결골 내회전(Medial rotation)이 일어난다. (이들은 외측근육인 대퇴이두근처럼 적극적으로 수축하지는 않는다.)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은 장두(Long head)와 단두(Short head)가 있으며, 장두는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의 후면부에서 기시(Origin)하고, 단두(Short head)는 대퇴골조선의 외측에서 기시한 후 대퇴하부에서 공통건을 형성하여 비골두(Head of fibular)에 닿는다. 대퇴이두근의 장두와 단두는 신경지배(Innervation)가 서로 달라서 대퇴후방의 손상으로 신경이 손상되었을 때 하나의 갈래만 마비될 수 있다. 무릎을 저항에 대항하여 90도 굽히면 대퇴이두근의 건과 장경인대(IT band)가 외측으로 주행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상태에서 대퇴이두근과 대퇴근막장근(TFL)을 수축시키면 약 40도 정도의 경골 외회전(Lateral rotation)이 일어난다. 굽힌 무릎에서의 돌림운동은 눈 위에서 스키를 탈 때 특히 중요하다.

근육명칭(Name) 특징(Feature)

내측근육
(Medial)
반건양근
(Semimembranosus)
기시점(Oring)
 -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의 후면부
정지점(Insertion)
 - 경골내과(Medial tibia condyle)의 후내측부
작용(Action)
 - 고관절 신전(Hip extension)
 - 슬관절 굴곡(Knee flexion)
 - 슬관절 내회전(90도 굴곡시)
(Knee medial rotation)(On knee 90 flexion)
신경지배(Innervation) : 좌골신경의 경골신경(Sciatic-tibia nerve)
반박양근
(Semitendinosus)
기시점(Oring)
 -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의 후면부
정지점(Insertion)
 - 경골내과(Medial tibia condyle)의 후내측부
작용(Action)
 - 고관절 신전(Hip extension)
 - 슬관절 굴곡(Knee flexion)
 - 슬관절 내회전(90도 굴곡시)
(Knee medial rotation)(On knee 90 flexion)
신경지배(Innervation) : 좌골신경의 경골신경(Sciatic-tibia nerve)

외측근육
(Lateral)
대퇴이두근의 장두
(Biceps femoris long head)
기시점(Oring)
 - 좌골결절(Ischial tuberosity)의 후면부
정지점(Insertion)
 - 비골두의 측면부
작용(Action)
 - 고관절 신전(Hip extension)
 - 슬관절 굴곡(Knee flexion)
 - 슬관절 외회전(90도 굴곡시)
(Knee lateral rotation)(On knee 90 flexion)
신경지배(Innervation) : 좌골신경의 경골신경(Sciatic-tibia nerve)
대퇴이두근의 단두
(Biceps femoris short head)
기시점(Oring)
 - 대퇴골 조선의 외측
정지점(Insertion)
 - 비골두의 후외측부
작용(Action)
 - 슬관절 굴곡(Knee flexion)
 - 슬관절 외회전(90도 굴곡시)
(Knee lateral rotation)(On knee 90 flexion)
신경지배(Innervation) : 좌골신경의 비골신경(Sciatic-peroneal nerve)

● 기능해부학

1. 햄스트링의 기능

  A. 2관절 근육의 한계

 => 햄스트링은 고관절 신전과 슬관절 굴곡 작용을 하는데, 이 두 작용은 동시에 최대로 작용할 수 없다. 슬관절을 최대로 굴곡한 경우, 근육의 길이가 아주 짧아져서 고관절 신전에 필요한 부가적인 수축을 할 수 없고, 고관절을 최대로 신전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슬관절 굴곡에 필요한 부가적인 수축을 할 수 없게 된다.

(햄스트링의 과활동성이 있는 경우는 복와위에서 고관절 신전을 시키면 무릎이 굴곡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B. 자세와 보행에서의 역할

=> 무릎이 최대한 굴곡된 때를 제외하고는 햄스트링은 편하게 선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 어떤 상황에서도 대퇴 신전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 평지를 걸을 때는 대둔근은 별로 작용하지 않고, 햄스트링이 고관절 신전 근육으로 작용하게 된다. 정상보행에서 햄스트링의 역할은 고관절 신전이나 슬관절 굴곡 그 자체를 유발하기 보다는 입각기(Stance phase)에 상체를 바로 유지하도록 하고, 유각기(Swing phase)의 마지막인 감속기(Terminal swing phase)때 고관절 술곡과 슬관절 신전에 저항해서 신장수축(Eccentric contraction)을 하는 것이다.

 

=> 대퇴와 종아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고관절에서 체간의 신전에 도움을 준다. 햄스트링이 마비된 사람은 대둔근이 똑바로 서는데 필요한 근육긴장(Tone)을 유지할 수 없어 앞으로 쓰러지게 된다.

2. 햄스트링의 단축 검사(Straight leg raising test)-SLR test

 - 검수자는 하늘을 보고 누워 다리를 펴고 요추와 천추는 바닥에 편평하게 닿도록 한다.

 - 만약 요추와 천추가 바닥에 편평하게 닿지 않는다면 무릎사이에 베게를 넣어 충분히 편평해지도록 한다.

 - 비검사측 대퇴부는 견고히 고정시켜 검사시 고관절 굴곡근에 의해 골반이 후방굴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 검사자가 한손으로 슬관절을 누르고, 다른 한손으로는 발꿈치를 고정시키면서 서서히 다리를 들어올린다.

 - 통증없이 다리를 최대한 올릴 수 있는 각도를 측정하는 데, 정상은 80도 이다.

 - 햄스트링의 단축이 있는 경우 정상 각도에 이르기 전에 통증이 발생한다.

3. 햄스트링과 관련된 임상적인 증상

 - 잠을 잘때 대퇴이두근의 TP는 잠을 깨우기도 한다.

 - 앉았다가 일어날 때 통증이 생기며, 무릎을 꼬고 앉았다가 일어나는 경우에 더욱 심하다.

 - 보행시에도 통증때문에 다리를 절게 된다.

 - 햄스트링의 긴장으로 인해 골반이 후방경사 되거나, 정상적인 요추곡선의 소실, 머리를 앞으로 내민 자세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체의 여러 근육에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4. TP와 방사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