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근육의 기능)

8. 극하근(Infraspinatus) 해부학 [알면 이득 모르면 손해]

극하근(Infraspinatus)은 견갑골의 극하와(Infraspinatus fossa)의 내측 3/4에서 기시하여 상완골 대결절(Greater tubercle)의 중간면에 부착되는 삼각형 모양의 근육으로서, 승모근과 삼각근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 있다. 이 근육은 어깨의 강력한 외회전근(External rotation muslce)이면서, 견갑하근(Subscapularlis), 극상근(Supraspinatus), 소원근(Teres minor)과 함께 회전근개(Rotator cuff muscle)를 구성하여, 상완골두(Head of humerus)를 견관절와(Glenoid cavity)에 고정시킨다. 극상근과 같이 상견갑신경(Suprascapular nerve)의 지배를 받는다.

★ 극하근의 기능

 - 어깨의 외회전에 작용한다.

 - 상완골두를 견관절와에 고정시킨다.

 - 회전근개의 근육들은 어깨의 외전과 신전시 상완골두를 견관절와에 고정시켜 안정시키는 역할은 한다.

 

★ 극하근 TP에 의한 동작제한 검사 (Mouth wrap-around test)

 - 어깨의 외전 및 외회전의 제한을 동시에 검사하는 방법이다.

 - 목을 반대쪽으로 45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팔을 외전, 외회전 시켜서 머리 뒤로 반대편의 귀를 지나 입으로 가게 한다.

 - 극하근은 외회전의 주동근(Agonist muscle)이고, 견갑하근과 대원근은 길항근(내전+내회전근)이다.

 - 주동근의 통증이나 길항근의 단축이 동작 제한을 유발한다.

 - 극하근 침범의 경우 능동적으로 올리면 귀까지 도달할 수 있으나, 운동의 끝에서 통증이 생기고, 수동적으로 올려주면 운동 범위가 늘어날 수 있다.

 - 목 뒤까지도 도달하지 못한다면 길항근인 대원근, 견갑하근의 단축 때문에 오는 가동성 제한 때문이다.

 

★ 극하근의 단축 확인 검사 (Hand to shoulder blade test)

 -손을 등 뒤로 올리게 하여 상완의 내전과 내회전 가동성 제한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 정상에서는 손이 반대 측 견갑골극 높이까지 닿아야 한다.

 - 내전+내회전의 주동근인 견갑하근과 대원근 근력이 정상이고, 길항근인 상완 외전근(극상근, 측면 삼각근, 이두근)과 외회전근(극하근, 소원근, 후면삼각근)의 단축이 없어야 이 동작이 가능하다.

 - 운동 제한과 통증이 있는 경우 극하근과 소원근의 단축을 의심해야 한다.

 -극하근이 단축된 경우는 능동, 수동에 관계없이 손을 바지 뒷주머니에 넣기도 힘들다.

 

● 임상적인 문제

1. 움직임 제한

 - 극하근에 TP가 생기면, 상완의 내전과 내회전이 제한되어 어깨의 가동성이 줄어든다. 예를 들면 상의를 입고 벗을 때, 브래지어 탈착 할 때, 바지 뒷주머니에 손 넣을 때, 등 긁기 움직임에서 통증으로 인해 힘들어진다.

 - 어깨의 피로를 쉽게 느끼며 주먹 쥐는 힘이 약해진다.

2. 통증

 - 어깨의 전면, 견관절의 심부에서 깊숙하고 극심한 통증이 생긴다.

 - 극하근 건염이 생기면, 특징적으로 외회전시에 삼각근 쪽으로 통증이 생길 수 있다.

 - 통증 때문에 누워서 자기가 힘들다.

 - 잠을 잘 때에는 바로 눕거나 환측을 아래로 해서 옆으로 누우면 극하근이 체중에 의해 눌려서 TP가 자극되어 잠을 잘 수 없다.

 - 반대로 건측을 아래로 해서 옆으로 누워 아픈 쪽의 팔을 앞으로 놓게 되면 극하근이 당겨져서 통증이 생긴다.

 - 극하근 TP가 압박받지 않도록 의자에 앉아 잠을 자거나, 팔에 베개를 고여 견갑골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해서 잠을 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