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근육의 기능)

1. 승모근 해부학 [알면 이득 모르면 손해]

 

옷걸이 근육

 

뒤에서 바라본 승모근

◆ 목과 어깨의 아버지

◆ 목과 어깨의 안정화 근육으로 약해지면 경추부터 상부 등에 문제가 생김.

 

승모근은 목과 가슴의 뒤쪽을 감싸는 크고 평평한 다이아몬드형의 근육으로서, 두개골 후방의 상항선, 항인대, 1번 경추에서 12번 흉추까지의 극돌기와 극간인대에서 기시하여 쇄골, 견봉돌기, 견갑골극의 상연과 내측단에 부착된다. 승모근은 근육의 주행 방향에 따라 상부, 중부, 하부 승모근의 세 부분으로 나누며, 각 부분의 기능이 서로 다르다.

상부승모근은 쇄골 외측 1/3에 붙는다.

● 상부승모근의 기능

1. 상부승모근의 일측 수축

 - 목을 반대쪽으로 회전. (최대 회전 시 보조기능)

 - 목을 같은방향으로 측굴.

 - 같은 방향 어깨를 거상 (뒤에서 앞으로 붙어 있으므로 견갑골을 내전)

2. 일측 상부승모근의 단축

 - 같은방향 어깨가 상승된 위치로 고정되고, 반대편으로 목을 측굴하기 어렵다. (운동 제한이 드물지만, 그중 반대 측으로 목의 측굴 운동 제한이 가장 흔하다.)

 - 목을 반대쪽으로 능동회전시 회전의 끝에서 통증이 생긴다.

3. 일측 상부승모근이 약화

 - 수축에 의한 작용이 어려워진다.

 - 목과 어깨의 연결선이 직선화 된다.

4. 양측 상부승모근 수축

 - 목을 뒤로 신전시킨다.

 - 양쪽 어깨를 위로 거상 시킨다.

5. 양측 상부 승모근의 약화

 - 목의 신전력이 약해져서, 엎드려서 고개를 들기가 힘들어진다.


6. 양측 승모근의 단축

 - 목의 앞으로 전굴이 제한되고, 경추 과전만이 유발된다.

 

● 상부승모근의 압통점(TP)과 방사통

1. TP1

 - 가장 흔한 TP, 상부승모근의 전연에 위치

 - 방사통으로는 목의 후외측에서 유양돌기까지 확산되며, 심한 경우는 머리의 측면을 따라 관자놀이와, 안와, 하악각까지도 방사되며, 경우에 따라 후두부, 어금니, 귀의 후면까지 방사되기도 하나, 귓속으로는 방사되지 않는다. 긴장성 두통의 중요한 원인이기도 하며, 현기증이나 현훈을 유발하기도 함.

 

2. TP2

 - 상부승모근 전연의 후미에 위치.

 - 방사통으로는 TP1보다 약간 뒤쪽으로 목을 타고 올라간다. 머리를 반대편으로 끝까지 회전시켰을 때 통증이 나타난다. 견갑거근, 경판상근과 함께 강직이 생기면, 목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기 힘들다.

 

● 중부 승모근의 기능

1. 흉추 극돌기 고정

 - 견갑골 내전 : 견갑골을 몸의 중심(흉추 극돌기) 쪽으로 잡아당긴다. (어깨가 뒤로 젖혀짐)

 - 양측 중부승모근 수축 시 어깨가 뒤로 가면서 가슴이 앞으로 나온다. (새가슴)

 - 견갑골의 관절와를 위로 향하게 하여, 견관절의 굴곡(Flexion)과 외전(Extension)을 돕는다.

 

2. 견봉 고정

 - 흉추극돌기가 같은 방향의 견갑골 내측연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 양측 수축이 되면 상부 흉추가 뒤로 신전된다.

 - 중부 승모근과 하부 승모근이 모두 편측으로 수축되면 척추 측만이 발생한다.

 

3. 중부승모근 약화 시 나타나는 현상

- 견갑골의 외전 및 어깨의 전방 전위(Protraction)가 초래되므로 어깨가 둥근 모양(Round shoulder)이 되어 앞으로 나오게 되고, 상부 흉추가 후만 된다.

 - 견갑골 관절와의 상방 회전이 약해져서 어깨의 외전이 완전하지 못하게 된다.

 

● 중부 승모근의 압통점(TP)과 방사통

1. TP5 : 견갑골의 견갑거근 부착부 내측 1cm 정도에 위치하며, 방사통은 압통점과 7번 경추 극돌기 사이의 표재성 작열통으로 나타난다.

2. TP6 : 견봉돌기 근처의 극상근 위에 위치하며, 방사통은 견관절의 정상부나 견봉돌기 쪽으로 방사한다.

3. TP7 : 견갑골을 가로지르는 근섬유에 넓게 퍼져있다. 압통점 위를 가볍게 접촉하면 상완에 닭살이 돋는다.

 

● 하부 승모근의 기능

 - 견갑골을 중심 쪽으로 잡아당기고 관절와를 위로 향하도록 하여, 견관절의 굴곡과 외전을 보조한다.

 - 하부 승모근 수축 시 견갑골 상각이 아래로 내려가고, 하각이 외측으로 돌아가고, 견봉이 상승한다.

(하부 승모근은 견관절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 하부승모근 약화 시 견갑골이 흉부의 상방으로 올라가면서 오훼돌기가 하강하고, 견갑골이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견갑골 전방 경사)

 - 견갑골 상하부가 함께 바깥으로 빠지게 되어 등이 넓어지면서 흉추 후만이 발생한다.

 

  극돌기 고정 견갑골 고정
일측 수축 견갑골을 상방회전 및 후방으로 당김.
(견갑와가 후방으로 올라간다.)
흉추 추체가 외측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양측 수축 전체 흉추의 신전으로, 흉추전만을 유발할 수 있다.

※하부 승모근이 과다 수축하면 견갑하각이 벌어져 팔이 체간에 붙지 않는다. (헬스를 과다하게 한 사람의 경우)

 

● 하부 승모근의 압통점(TP)과 방사통

1. TP3 : 견갑골 내측연과 중부 승모근의 근섬유가 만나는 부위 또는 견갑골 하각이나 하부에 위치하며 방사통은 상부 경추부의 근육, 유양돌기, 견봉 돌기, 견갑극 상부로 심한 통증이 방사된다. 

2. TP4 : 극하근의 내측단 위에 발생하며, 방사통은 견갑골 내측연을 따라서 나타난다.

 

● 승모근의 전체의 기능

1. 일측의 승모근 전체가 수축

 - 견갑골의 관절와가 위로 향하도록 견갑골을 회전시킨다.

 - 견갑골을 체간 중심 쪽으로 당기고 상승시켜 어깨의 외전을 돕는다.

 - 목과 머리를 신전시키고 턱을 반대 방향으로 가도록 한다.

 

2. 양쪽의 승모근 전체가 동시에 수축하면 경추부와 흉추부를 뒤로 신전한다.

 

3. 승모근 전체의 약화

 - 견봉의 하강.

 - 견갑골 외전 및 내회전(팔을 외전 시켜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 상부 승모근의 단축이 있으면 중부, 하부 승모근에도 이완성 긴장이 같이 오는 경향이 있으므로 항상같이 회복해 주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