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근육의 기능)

11. 대원근(Teres major) [알면 이득 모르면 손해]

대원근(Teres major)은 견갑골 뒷면 하외측의 타원형 부착부에서 기시(Origin)하여 상완골(Humerus)의 소결절 능(Crest of lesser tubercle)으로 정지(Insertion)하는 두꺼운 원통형의 근육이다. 견갑하 신경(Lower subscapular nerve)과 C5, C6, C7의 신경 지배를 받는다.

 

★대원근의 기능

 - 어깨의 내회전(Medial rotaion), 내전(Adduction)

 - 저항내전동안 기능이 활성화된다.

 - 굴곡 위치에서 팔을 신전 위치로 움직일 때 작용한다.

 ※ 신전+내전+내회전 동작은 셔츠를 바지 뒤쪽으로 밀어 넣는 동작 또는 이어달리기에서 바통을 받는 자세에서 나오는 동작이다.

 

★ 대원근 단축 검사

1. Mouth wrap-around test

 - 어깨의 외전 및 외회전의 제한을 동시에 검사하는 방법이다.

 - 몸을 반대쪽으로 45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팔을 외전, 외회전 시켜서 머리 뒤로 반대편의 귀를 지나 입으로 가게 한다.

 - 극하근은 외회전의 주동근이고, 견갑하근과 대원근은 길항근(내전+내회전근)이다.

 - 주동근의 통증이나 길항근의 단축이 동작 제한을 유발한다.

 - 극하근의 단축성 긴장의 경우 능동적으로 올리면 귀까지 도달할 수 있으나, 움직임의 끝에서 통증이 생긴다. (수동적으로 올려주면 움직임 범위가 늘어나기도 한다.)

 - 목 뒤까지도 도달하지 못하면 길항근인 대원근, 견갑하근의 단축성 긴장 때문에 오는 가동성 제한 때문이다.

2. 상완삼두근 검사 (Ticeps brachii test)

 - 상완삼두근은 협력근인 광배근, 대원근, 소원근과 함께 팔의 내전근, 신전근으로 작용한다.

 - 내전근들의 단축이 생기면 팔꿈치를 펴고 팔을 외전 시켜 같은 쪽 귀에 붙이게 했을 때 팔을 완전히 외전 하기가 힘이 들어 같은 쪽 귀에 팔을 붙일 수 없다.

 

● 임상적인 문제

 1. 증상

 - 대원근 자체로는 어깨를 동결시키거나 심한 운동 제한을 만들지는 않지만, 뻑뻑한 자동차 핸들을 돌리거나 테니스의 오버핸드 서버를 넣은 동작과 같이 팔의 움직임 범위의 끝에서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 검사할 때 환자의 팔을 수동적 굴곡 및 외회전 시키거나, 능동적 저항 신전 및 저항 내회전 시킬 때 통증을 느낀다.

 - 대원근이 상완의 신전, 내전, 내회전근이므로, 단축 시 상완의 굴곡, 외전 외회전의 제한을 유발한다.

2. TP와 방사통

※ 상완신경총 (Brachial plexus)

◆ 신경근 or 신경 뿌리 (Nerve roots)

 - 견갑배신경 (Dorsal scapular nerve)

 - 장흉신경 (Long thoracic nerve)

◆ 신경체 or 신경 체간 (Trunks)

 - 쇄골하신경 (Subclavia nerve)

 - 견갑상신경 (Suprascapular nerver)

◆ 신경간 or 신경 분획 (Divisions)

 - 쇄골하신경 (Subclavian nerve)

 - 견갑상신경 (Suprascapular nerve)

◆ 신경속 or 신경 삭 (Cords)

 - 내흉신경/외흉신경 (Medial, Lateral pectoral nerve)

 - 견갑하신경/견갑상신경 (Subscapular nerve Lower/Upper)

 - 흉배신경 (Thoracodoral nerve)

 - 내측상완피신경 (Medial brachial cutaneous nerve)

 - 내측전완피신경 (Medial ante brachial cutaneous nerve)

◆ 신경가지 or 말단 신경 (Terminal nerve)

 - 근피신경 (Musculocutaneous nerve)

 - 액와신경 (Axillary nerve)

 - 요골신경 (Radial nerve)

 - 정중신경 (Median nerve)

 - 척골신경 (Ulnar ne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