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37) 썸네일형 리스트형 애플 힙을 만들어 보자!! 엉덩이 근육을 올바르게 자극시키기 전에 알면 좋은 팁! 요즘 남녀노소 따지지 않고 보디라인(Bodyline)에 있어서 엉덩이 근육은 매력 어필을 떠나서 건강미를 더해주기 때문에 젊은 층부터 노년층까지 관심도가 뜨겁다. 운동 목적으로 옷을 입었을 때 핏을 좀 더 살리기 위해 힙업을 목표로 운동하는 사람들도 있고, 허리 건강과 무릎 건강 및 신체 전반적인 근육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운동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여기서 다소 어려운 전문용어가 나오니 미리 정리해보도록 하자. 단축성 수축이란, 해부학적으로 근육의 시작점과 끝점의 길이가 가까워지며 수축을 하는 것이며 신장성 수축이란 길이가 멀어지며 수축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수축의 의미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자신의 체형에 있어서 엉덩이 근육.. 복근운동의 중요성 복근 운동은 왜 해야 할까? 운동을 정말 좋아서 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부위별로 매일 돌아가며 운동하는 것을 혼자의 힘으로 하기란 쉽지 않다. 각각 부위마다 수축이완의 운동이 진행되며 타들어가는 근육통의 느낌 또한 다르기 때문에 하기 싫은 운동과 그나마 조금 해볼 만한 운동으로 나뉘기도 한다. 여러 사람들과 운동 관련 상담을 해보면 빠짐없이 나오는 부위 중 하나가 복부이다. 누구는 뱃살을 빼고 싶은 목표를 가지고 있고 또 다른 사람은 선명한 초콜릿 복근을 만드는 목표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 모든 목표 모두 좋지만, 좀 더 전문가 입장에서 바라본 복근 운동의 목표는 다르게 해석된다. 복부 근육의 해부학적 기능으로는 갈비뼈와 골반뼈 사이를 가깝게 만드는 기능을 하며, 다리가 고정된 상태에서 몸통의 회전과 .. 각도별로 다르게 사용되는 가슴근육 가슴 근육의 해부학적인 기능 남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근육 중 하나인 가슴 근육(대흉근)은 역시나 어떠한 헬스장(Gym)에 가도 인기가 높은걸 찾아볼 수 있다. 저번에 포스팅했던 벤치프레스(Bench press) 역시 대표적인 가슴 근육인데 오늘은 좀 더 디테일한 가슴 근육(대흉근) 운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벤치프레스(Bench press)는 대표적으로 평평한 벤치(Flat bench)에 누워서 진행을 하게 되는데 벤치의 각도별로 가슴 근육의 상단부와 중앙부 그리고 하단부를 디테일하게 나누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가슴 근육의 가장 대표적인 해부학적 기능은 팔을 수평라인으로 만든 상태에서 내전(모음) 동작으로 수축하며 반대로 동작하면 이완된다. 수평라인에서의 팔의 모음 동작은 대표적으로 가슴 근육의.. 대표적인 등근육 운동 풀다운(Pull down)과 로우(Row) 등근육이 사용되는 동작 원리 운동 동작의 명칭과 움직임을 외우려 하기보단 한번 간단하게 이해해보자. 등근육은 어떤 원리로 사용이 되는 것일까? 해부학적으로 등근육은 우리 몸 뒤쪽에 위치하고 있어 생각보다 어떤 동작으로 근육을 사용하면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등근육에는 크게 승모근(상부, 중부, 하부), 광배근, 척추기립근 등 여러 가지 근육들이 모여 있다. 서로 다른 기능들을 가지고 움직이기에 등에는 여러 가지 근육들이 존재한다. 승모근은 척추 등뼈 기준으로 날개뼈의 움직임이 위로 움직이느냐 안쪽으로 움직이느냐 아니면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상부 승모근, 중부 승모근, 하부 승모근으로 나뉘게 되며 이 기능 외에도 날개뼈의 상방 회전과 하방 회전을 담당하기도 하며 상부 승모근 같은 경우엔 목.. 숄더 프레스 (Shoulder press) 숄더 프레스 (Shoulder press)는 무엇인가? 숄더 프레스(Shoulder press)는 오버헤드 숄더 프레스 (Overhead shoulder press)의 줄임말이다. 어깨 근육(삼각근)을 주로 사용하고 덤벨(Dumbbell) 또는 바벨(Barbell), 케틀벨(Kettlebell)과 같은 소도구, 머신을 사용하며, 서있는 자세와 앉아있는 자세로 진행할 수 있다. 협력으로 사용되는 근육으로는 날개뼈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근육 중 승모근(상부, 중부, 하부)이 있고, 팔꿈치를 펼 때 사용되는 삼두근이 보조로 사용된다.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체형 불균형 자세중 오랜 시간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굽은 등, 굽은 어깨, 일자목 자세에서 약해져 있는 근육을 주로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 벤치프레스(Bench press) 가슴운동의 꽃 벤치프레스(Bench press) 운동하러 체육관에 가보게 되면 꼭 있는 기구들이 있다. 그중에서 빼먹지 않고 있는 벤치프레스(Bench press). 심지어 등산하거나 개천 옆길 따라 간단 운동코스 라인을 지나가면서 보일 정도로 대표적인 운동기구다. 앞에서 포스팅한 스쾃(Squat)이나 데드리프트(Deadlift), 런지(Lunge)와 같은 하체운동들은 주로 여성들이 많이 하는 운동이라고 한다면 벤치프레스(Bench press)는 남성들이 주로 즐겨하는 운동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벤치프레스(Bench press)의 정확한 명칭은 Flat bench barbell press이지만, 줄여서 벤치프레스(Bench press)라고 불리며 주로 사용되는 근육은 가슴 근육(대흉근)이며, 보조로 도움.. 런지(Lunge) 런지(Lunge)는 꼭 해야 합니다 하체 운동하면 스쾃(Squat) 다음으로 나오는 게 바로 런지(Lunge)다. 사실 나는 운동을 배우러 오시는 회원님들에게 스쾃(Squat)보다 런지(Lunge) 운동을 더 강조하고 있다. 더 강조한다는 것은 더 좋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부분 또한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100% 좋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나는 스쾃(Squat)보다는 런지(Lunge)에 손을 더 들어주고 싶다. 런지(Lunge) 운동은 스쾃(Squat)과 마찬가지로 맨몸 운동으로 할 수 있는 하체 운동 중에 하나이며, 한 다리는 앞으로 한 다리는 뒤로 가있는 자세로 골반 중립 형성에 매우 좋다. 그러한 이유로 고관절의 가동범위가 떨어지는 체형을 가진 사람이 스쾃(Squat)을 할 때 골반 중.. 데드리프트(Deadlift) 데드리프트(Deadlift)는 꼭 해야 합니다. 동네 체육관에 가보면 스쾃(Squat) 못지않게 많이 하는 운동이 있습니다. 바로 데드리프트(Deadlift)입니다. 심지어 무릎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스쾃(Squat)보단 데드리프트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데드리프트(Deadlift) 운동을 허리운동으로 알고 있는데, 명백히 잘못됐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허리가 좋아지게는 할 수 있지만, 허리로 하는 운동이 아닌 고관절의 움직임으로 동작하는 운동입니다. 주로 쓰이는 근육으로는 엉덩이 근육(둔부 근육)과 뒤 허벅지 근육이고, 종아리 근육, 안쪽 허벅지 근육, 광배근, 척추기립근을 포함한 코어 근육들은 자세 유지를 위한 협력근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허리 근육으로 알려진 척추기립근은 데드리프.. 이전 1 ··· 14 15 16 17 18 다음